모바일 메뉴 닫기
 

전공소개

교육목표





김아람 교수


연락처    033-248-1575


e-Mail   aramkim@hallym.ac.kr


연구실    대학본부·인문1관 2503호




학력

• 2003-2006 이화여자대학교 (문학사-사회과교육과 역사교육 전공)

• 2006-2009 이화여자대학교 (문학석사-사회과교육과 역사학 전공)

• 2009-2017 연세대학교 (문학박사-사학과)



주요경력

• 2011-2019 가톨릭대학교,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, 연세대학교, 이화여자대학교, 한국방송통신대학교, 한일장신대학교 강사

• 2017-2019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전문연구원

• 2011.5-현재 역사문재연구소 연구원

• 2020.3-현재 한림대학교 글로컬융합인문학전공, 인문학부 사학전공 조교수

• 2023.1-현재 한림대학교 글로컬융합인문학전공 주임교수



연구 및 저서


논문

- 2009.11,「1950년대 혼혈인에 대한 인식과 해외입양」, 『역사문제연구』22.

- 2011.12,「5.16군정기 사회정책-아동복지와 '부랑아' 대책의 성격」, 『역사와 현실』82.

- 2013.04,「1970년대 주택정책의 성격과 개발의 유산」, 『역사문제연구』29. 

- 2015.04,「성장신화에 갇힌 박물관: 제3,4전시실(1961년 이후)」, 『역사비평』104.

- 2016.04,「38선 넘고 바다 건너 한라산까지, 원남민의 제주도 정착 과정과 삶」, 『역사문제연구』35.

- 2017.06,「한국전쟁기 난민정착사업의 실시와 구호의 성격」, 『한국민족운동사연구』91.

- 2017.10,「1950년대 후반~60년대 전반 정착사업의 변천 과정과 특징」, 『역사문제연구』38.

- 2018.03,「여순사건 이후 지역의 피해와 재정착의 정치성 - 하동군 화개면의 사례를 중심으로-」, 『한국근현대사연구』84.

- 2018.06,「한국전쟁기 제주도의 공간적 인식과 이주 개발 정책」, 『동악어문학』75.

- 2018.09,「1960년대 개척단의 농지조성과 갈등 구조」, 『사학연구』131.

- 2019.03,「'세월호 유가족'이 된 희생자 부모의 활동과 그 의미」, 『구술사연구』10-1.

- 2019.10,「1960~1970년대 석탄사업 정책과 동원탄좌」, 『역사문제연구』42.

- 2019.12,「피난지에서 미군기지까지. 평택에서의 이주와 정착」, 『역사와 현실』114.

- 2020.11,「배울 권리와 의무교육의 교차, 1950~60년대 전반 '혼혈' 아동 교육」, 『역사비평』133.

- 2021.03,「1960~80년대 사회정화와 여성 수용」, 『사회의 역사』129.

- 2021.03,「1960~70년대 힌센인 정착촌의 형성과 '자활'의 한계」, 『동방학지』194.

- 2021.08,「한국 현대사를 많이 알면 민주시민이 될 수 있는가」, 『역사비평』136.

- 2021.09,「학교에서 거리로, 도시에서 농촌으로 : 1960~70년대 이념서클의 학생운동 - 연세대 한국문제연구회를 중심으로 - 」, 『학림』48. 


저서

- 2014,『고아, 족보 없는자: 근대, 국민국가, 개인』, 책과함께(공저) 

- 2016,『구술사료선집 23, 이주와 정착: 1950~60년대 농촌 정착사업 참여자의 경험』, 국사편찬위원회(공저)

- 2016,『수잡사효해제집 10, 전남, 제주 지역 정착사업 사료』, 국사편찬위원회 (자료 수집 및 해제)

- 2018,『6.25전쟁과 1950년대 서울의 사회변동』, 서울역사편찬원

- 2018,『한국사, 한 걸음 더』, 푸른역사(공저)

- 2018,『청량리』, 반성매매인권행동 이룸(공저)

- 2019,『분단시대 월남민의 사회사: 정착, 자원, 사회의식』, 혜안(공저)

- 2020,『(1980년 사북) 여성의 탄광살이와 항쟁 참여』, 선인(공저)

- 2020,『(1980년 사북) 항쟁과 그 이후의 삶』, 선인(공저)

- 2020,『(1980년 사북) 항쟁의 발발과 명예회복 과정』, 선인(공저)

- 2020,『한국 민주주의 100년, 가치와 문화』, 한울아카데미:한울엠플러스(공저)

- 2021,『(1980년 사북) 항쟁과 일상의 사회사』, 선인(공저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