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공 비전 및 목표
비전
미래사회 글로벌 인재의 요람
목표
BT-NT-IT 융합신소재 기술 창출 및 인재 양성
융합신소재공학전공 전망
바이오헬스 분야의 전망
국내 바이오헬스산업 일자리: 2013년 11만3000명 → 2017년 14만4000명 (연평균 5.6% 증가)
- 같은 기간 전체 제조업 연평균 고용증가율: 0.8% → 바이오헬스 분야의 양질의 일자리 창출


고용현황(단위=명)
- 2013년 : 112,672
- 2014년 : 118,449
- 2015년 : 125,815
- 2016년 : 137,321
- 2017년 : 143,736
- 2018년 2분기 : 147,000
연도별 수출실적(단위=억달러)
- 2013년 : 57
- 2014년 : 69
- 2015년 : 86
- 2016년 : 102
- 2017년 : 122
고용유발계수(단위=명)
- 바이오헬스 : 16.9
- 전 산업 평균 : 8.8
*고용유발계수는 매출 10억원당 창출되는 고용자수. 2018년 1분기 기준.
주요 산업 기술인력 부족률
- 소프트웨어 : 4.0%
- 바이오헬스 : 3.5%
- 화학 : 3.5%
- 기계 : 2.7%
- 전자 : 2.2%
부족인원/(현재인원+부족인원), 2016년 기준. 자료 =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
교육특성화
특성화 분야
미래융합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
목표
BT-NT-IT 융합기술기반의 미래융합 신소재 산업의 핵심기술 인력 양성
융합신소재공학 | |||
---|---|---|---|
바이오 신소재 | 고분자 신소재 | 나노 신소재 | 신소재 공정 |
|
|
|
|

연구 특성화
미래 융합 의료기기 구현
- 체외 현장진단 기기
- 인체삽입형 진단치료기기
- 인공장기
베이스 컴플렉스 |
(차세대 시퀀싱) |
|
콘주게이트 |
|
|

외부 연구비 수행 현황
- 적극적 외부 연구비 수주를 통한 연구 증대 및 실험 실습 강화
- BK21+,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등 집단연구과제 수주를 통한 연구환경 조성
과제명 | 연구책임자 | 총연구기간 | 총 연구비(백만원) | 지원기관 |
---|---|---|---|---|
총 계 | 5,085 | |||
신개념 휴대형 인공신장용 요독분해 바이오필터 및 요독 검출 바이오센서 개발 | 성건용 교수 | 2014.06 ~ 2019.04 | 900 | 보건복지부 |
3D 프린팅 기반 휴먼온어칩 융합연구실 사업 | 성건용 교수 | 2015.09 ~ 2020.02 | 2,250 | 과학기술정보통신부 |
대장균 표면발현 기술을 이용한 고감도 마이크로플루이딕 기반의 전기화학발광 바이오센서 개발 | 박민 조교수 | 2016.11 ~ 2019.10 | 150 | 과학기술정보통신부 |
Biomimetic hydrogel 4D 프린팅 원천 기술 개발 |
박찬흠 교수 | 2016.12 ~ 2020.11 | 920 | 과학기술정보통신부 |
창상 치유 및 급속 지혈 효과를 가진 광경화성 지혈제 개발 기획연구 |
박찬흠 교수 | 2018.04 ~ 2018.07 | 40 | 과학기술정보통신부 |
복합 3D 프린팅 후두 지지체 개발 및 동물 모델 검증 |
박찬흠 교수 | 2017.04 ~ 2019.12 | 550 | 보건복지부 |
후두 재생용 복합 3D 프린팅 바이오 잉크 개발 | 김순희 조교수 | 2017.04 ~ 2019.12 | 275 | 보건복지부 |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