디지털인문예술전공 연혁
연도 | 내용 |
---|---|
2018.09.01 |
|
2018.04.01 |
|
2018.03.01 |
|
2017.03.01 |
|

디지털인문예술전공 발전 가능성
디지털인문예술전공 전공 진행 행사 - 특강
- 학생 및 교직원 대상 SW 활용 교육 제공
- 전공심화학습, 진로지도, 전문가 네트워킹


2017년 2학기 디지털인문예술융합전공 교육 프로그램 디지털마케팅과 진로 특강
나는 시대가 원하는 인재인가? 디지털마케터의 성공과 실패극복기
- 강사
- 황미진(스펙업애드 공기업팀장)
- 서울대학교 인류학과/경영대 학부 졸
- 서울대학교 경영대 대학원 졸
- (전)삼성 SDS 인사팀
- 일시
- 2017년 11월 30일(목) 오후 4시 30분 ~ 6시
- 장소
- 인문 2관 5층 4510 강의실


LINC+ 산업체 전문가 초청 특강
대화형 인공지능을 만들 때 인문/사회학도의 역할
- 김무성 (주)텍스트팩토리 CTO
- 문자 기반의 개인 서비스 '문비서' 및 인공지능 채팅봇 '문봇' 개발참여/운영. 페이스북 싸이그래머 운영자
일시 : 2018.4.26(목) 오후 4:30~6:30
장소 : 인문1관 4433
한림대학교 디지털인문예술전공


- 1회 구글드라이브와 구글앱스 사용법
-
- 강사 : 이덕영 교수(기초대)
- 10.2 화 오후 4:30~6:30
- 임베디드 하드웨어 실습실 (본부5층 2519호실)
- 2회 구글 클래스룸 활용법
-
- 강사 : 한수미 교수(디지털인문예술)
- 10.16 화 오호 4:30~6:30
- 임베디드 하드웨어 실습실 (본부5층 2519호실)
- 3회 태블로로 쉽게 하는 데이터 시각화
-
- 강사 : 송숙영(코그니텀랩/대표)
- 10.24 수 오후 5:00~7:00
- bk21 멀티미디어 실습실 (공학관 1층 1111호실)
- 4회 코딩 초심자를 위한 웹과 인터넷
-
- 강사 : 이고잉(생활코딩 운영자)
- 11.06 화 오후 4:30~6:30
- 기초교육대강당 (기초교육관 3층 16309호실)
- 5회 가볍게 챗봇 만들어보기(딥러닝과 자연언어처리)
-
- 강사 : 심상진(Naver Chatbot 팀)
- 일정 : 11.14 수 오후 5:00~7:00
- 임베디드 하드웨어 실습실 (본부 5층 2519호실)
|
|
---|

디지털인문예술전공 발전방안
체제개편
인력양성 및 연구역량 강화
- 교내 연계를 통한 인력양성 협력 체계 강화
- SW중심대학사업단, LINC+사업단과 협업 강화
- 지역문화콘텐츠 확대 개편: 문화콘텐츠기술 트랙 신설
- 언어공학 트랙 신설: 국문학과, 영문학과, 데이터과학스쿨, 소프트웨어대학 등과 협업
- 디지털인문학연구소 외부 연구비 수주로 연구 역량 강화
- 인문데이터 구축 및 활용 관련 연구과제 신청(한국연구재단, 한국학중앙연구원)
- 온라인 학술지 발간
- 국내외 디지털인문학연구소와 인적, 학문적 교류 도모
산업체 및 유관기관과의 협력 체계 추진
- 생활코딩, opentutorials.org와 한림대학교 MOU 체결 추진
- 소프트웨어 카펜트리와 MOU 체결 추진
- 춘천시내 초등, 중등, 고등학교, 기관, 다문화센터 등과 디지털리터러시 관련 MOU 체결 추진(SW 봉사활동)
- 강원농촌융복합산업지원센터 스토리텔링 활용 마케팅 사업(2018년 11월 ~ 2019년 1월)
- 학생들에게 브랜드 마케팅 실무 경험 제공
- 캡스톤디자인 교과운영 등과 연결하여 수업과 지역현장 연결
- 향후 센터와의 지속적인 연계 사업 추진 계획
- 춘천지역 유관기관과의 협력체계 구축 추진
- 지역문화콘텐츠 활용 아이템 개발 및 홍보사업 추진
- 행정인턴 파견 등
교수 및 연구인력 충원을 통한 질 높은 교육 서비스 제공
- 신임교원 충원
- 문화예술디자인 트랙 담당 교원
- 복수의 시간강사에 전적으로 의존해온 상황
- 다학제적 전문가 필요
- 이미지영상디자인
- 시각디자인
- UX디자인 분야
- 데이터아트
- 데이터시각화
- 인공지능
- 문화예술경영
- 디지털인문학연구소 공간 및 연구인력 확보
- 디지털인문학연구소 공간 확보
- 우수 연구인력 확보
- 우수 연구인력 초빙은 실질적 연구동력 창출로 이어짐
- 국내외 디지털인문학 연구 아젠다 선점 및 관련 연구 선도
-
한국
- 서울대학교
-
- 인문대학 연계전공 : 인문데이터과학
- 이화여자대학교
-
- 스크랜튼대학 자유전공 : 디지털인문학 트랙
- 한림대학교
-
- 디지털인문학연구소 : Digital Humanities Collaboratory
- 디지털인문예술 융합 전공 : Digital Arts & Humanities
-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 : Vadoro Class
영미권
- City University of New York, Graduate Center
-
- 연구소 : CUNY Digital Humanities Initiative
- 석사 학위 디지털인문학 트랙 : MALS Track in DH
- Columbia University
-
- Digital Humanities Center
- George Mason University
-
- Roy Rosenzweig Center for History and New Media >> Digital Humanities
- MIT
-
- HyperStudio
- Northeastern University
-
- NULab for texts, maps and networks | Center for Digital Humanities...
- Graduate Certificate In Digital Humanities - Department of History
- Royal Irish Academy
-
- PhD program
- Stanford University
-
- Digital Humanities
- 연구소 : Center for Spatial and Textual Analysis
- 문학 연구소(Frango Moretti) : Stanford Literary Lab
- Digital Humanities Projects at Stanford
- 디지털인문학 부전공(2016년 가을 학기 시작) : Minor in Digital Humanities
- SUNY
-
- Buffalo : Digital Humanities Initiative at Buffalo
- Buffalo State : Digital Humanities Collaborative
- UCLA
-
- 연구소 : Center for DH
- 학부 부전공 : Undergraduate Minor
- 대학원 : Graduate Certificate
- UC Berkeley
-
- Digital Humanities
- UC Santa Barbara
-
- 영문학과 : Alan Liu